1.
2.
Androsace umbellata
앵초목 앵초과
다른이름: 봄맞이꽃, 동전초, 보춘화, 점지매, 후롱초, 후선초
생김새: 높이 약 10cm. 뿌리에서 잎이 나오고 4~5월에 흰색 꽃이 핌.
잎: 반원형 또는 작은 원형으로 길이가 0.4∼1.5cm. 잎 가장자리에 뭉툭한 삼각형의 톱니가 있음.
전체적으로 연한 색이고 털이 나 있음.
꽃: 흰색. 꽃자루는 1∼25개가 모여 남. 꽃자루 끝에 4∼10개의 꽃이 우산 모양으로 달림.
꽃받침 5장. 꽃잎 5장. 수술 5개.
열매: 삭과. 거의 원형에 가까움. 윗부분이 다섯 개로 갈라짐
쓰임새: 관상용, 식용, 약용
붉고 둥근 풀잎들 사이에서 희고 작은 꽃들이 피어나는 모습이 마치 봄을 재촉하기
라도 하는 듯이 보여서인지, 이름도 봄맞이다. 둥근 풀잎 때문에 동전초라고도 하고,
흰색의 작은 꽃잎이 마치 땅에 점점이 뿌려져 있는 듯하여 점지매라고도 하며,
이른 봄에 꽃이 핀다고 보춘화라고도 한다.
한 해 또는 두 해에 걸쳐 자라며 뿌리에서 나온 잎이 땅에서 사방으로 퍼진다.
변형된 잎인 포(苞)가 꽃을 보호하는데, 포의 길이는 0.4∼0.7cm로서 달걀 모양이다.
꽃받침의 조각 역시 달걀 모양인데 끝이 날카로우며 꽃이 진 뒤에 커진다.
전국에서 볼 수 있으며 들판이나 논둑, 밭둑, 언덕 등 햇빛이 잘 드는 곳을
좋아한다. 우리나라에서 볼 수 있는 봄맞이속의 식물에는 별봄맞이,
금강봄맞이, 애기봄맞이, 백두산봄맞이, 명천봄맞이 등이 있다.
이 중 별봄맞이는 외래종으로 제주도 들판에서 자란다. 금강산에서
처음 발견된 금강봄맞이는 금강산과 설악산 등 높은 산지의 바위 틈에서
자란다. 5∼6월에 하얀 꽃이 피는데 봄맞이 중에서도 가장 크고 예쁘다.
화단에 관상용으로 심으며, 어린순과 잎은 봄나물로 식용한다. 4월에
풀 전체와 열매를 따서 그늘에서 말린 뒤 약재로 이용한다.
- 글출처: 네이버 -